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20210814) - 전기자기학

6. 히스테리시스 곡선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해당하는 것은?

by 오아시스사랑 2023. 8. 24.
반응형

6. 히스테리시스 곡선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해당하는 것은?


① 보자력의 크기

② 잔류자기의 크기
③ 보자력과 잔류자기의 곱
④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

• 보자력(保磁力) 용어 정리

- B=0이 되기 위한 H 값
- 영어로는 coercive force
- 단위 : N이 아니고, H의 단위인 A/m이다.
- 保(보) : 지키다, 유지하다
- 磁(자) : 자석
- coercive : 강압적인(다음 영어사전)
- 보통 Hc로 표기한다.

Hysteresis loss

답은


 참고

- 자성체는 자화(M)의 방향이 바뀌는 것을 싫어함.
- 왜냐하면, 자화(M)의 방향이 바뀌면 원자 혹은 분자간의 거리가 변함. 즉, Strain energy가 변함
자연계가 움직이는 방향은 딱 2가지로 ① Potential energy가 감소하는 방향, ② Entropy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
- 이 경우 자화(M)의 방향이 바뀐다는 것은 Potential energy(=magnetic potential energy + elastic potential energy)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H(외부 자기장)가 그 싫어함을 이기고 억지로 바꿔주고 있음. (즉, 외부에서 일을 해주고 있음)
- 결국, 히스테리시스 손실(hysteresis loss)은 원자 및 분자들의 진동인 열에너지로 바뀜
- 대부분의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하는데 그 이유는 운동량 보존법칙을 만족하기가 가장 쉬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비슷한 문제 한 번 더 보자!


Q. 전자석에 사용하는 연철(soft iron)은 다음 어느 성질을 갖는가?

  ① 잔류자기, 보자력이 모두 크다.
  ② 보자력이 크고 잔류자기가 작다.
  ③ 보자력이 크고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이 작다.
  ④ 보자력과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이 모두 작다.

• 연철(soft iron, 軟鐵) 용어 정리

- 연(軟) : 연하다
- 철(鐵) : 쇠 (Fe, 원자번호 26)
- 탄소가 거의 들어 있지 않아(0.01% 이하) 물렁물렁해서 가공이 쉬운 철

• 풀이

- 연철은 재료 자체가 연해서(물렁물렁) 자화 방향의 변화를 쉽게 막지를 못해요~
- 그래서 연철의 자화(M)는 H 방향대로 쉽게 쉽게 딸려가서 보자력이 작아요. 

Hard & Soft magnetic material

답은 ④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