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계9

6. 공기중에서 전위함수가 V=(1/8.854)xy^2[V] 일 때, 점(2, 3, 5)[m]에서 체적전하밀도는? 6. 공기중에서 전위함수가 V=(1/8.854)xy2[V] 일 때, 점 P(2, 3, 5)[m]에서 체적전하밀도 ρv[pC/m3]는? (다만, 공기의 유전율은 8.854E-12[F/m] 이다.) ① 2 ② -2 ③ 4 ④ -4 ⑤ 6 • 풀이 1) 전위함수 V를 알고 있으니 E를 먼저 구하자! 2) 구해진 E를 이용하여 체적전하밀도(부피전하밀도)를 구하자! 답은 ④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2023. 12. 26.
23. 1 ax [V/m]의 전계와 1 ax [Wb/m2]의 자속밀도가 작용하는 공간내에서 1 [C]의 전하가 1 ay [m/sec]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이 전하에 작용하는 힘 [N]은? 23. 1 ax [V/m]의 전계와 1 ax [Wb/m2]의 자속밀도가 작용하는 공간내에서 1 [C]의 전하가 1 ay [m/sec]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이 전하에 작용하는 힘[N]은? ① ax + az ② ax - az ③ ax ④ -ax ⑤ 0 • 풀이 - 로렌츠 힘(Lorentz force)의 공식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다. - 문제에 주어진 값들을 공식에 집어 넣자! 답은 ②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2023. 11. 26.
34. 자유공간에서 전계 E(z, t) = 1000sin(ωt - βz) ay [V/m]일 때, 자계 H(z, t) [A/m]는? 34. 자유공간에서 전계 E(z, t) = 1000sin(ωt - βz) ay [V/m]일 때, 자계 H(z, t) [A/m]는? 답은 ④ (단, ax, ay, az는 각각 x, y, z 축의 단위벡터, ω는 각주파수, β는 위상정수이다.)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B를 구할 수 있다. B를 구한다음에 H를 구하자! 2023. 10. 8.
1. ԑ1 > ԑ2 인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전계가 수직일 때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1. ԑ1 > ԑ2 인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전계가 수직일 때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① 전계의 방향 ② 전속 밀도의 방향 ③ ԑ1 의 유전체에서 ԑ2 의 유전체 방향 ④ ԑ2 의 유전체에서 ԑ1 의 유전체 방향• 풀이-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서 ԑ1에 의해 + charge와 ԑ2에 의해 – charge가 생성됨- ԑ1 >  ԑ2에이므로 결국 -보다 +가 더 많으므로 오른쪽으로 힘이 발생됨- σb : 속박 전하 밀도(b : bounded) 답은 ③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2023. 9. 23.
15. 평형상태에서 도체의 전하분포와 전계에 관한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15. 평형상태에서 도체의 전하분포와 전계에 관한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답은 ① ① 도체 내부에는 전계가 0이 아니다. ② 대전된 도체의 전하는 도체 표면에만 존재한다. ③ 대전된 도체 표면은 동일 전위에 있다. ④ 대전된 도체 표면의 각 점의 전기력선은 표면에 수직이다. 2023. 9. 2.
17. 무한장 직선 전하로부터 수직거리 p[m]되는 점에서 전계의 세기는? 17. 무한장 직선 전하로부터 수직거리 p[m]되는 점에서 전계의 세기는?① p에 반비례      ② p에 비례③ p2에 비례         ④ p2에 반비례 • 풀이-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 ① 쿨롱의 법칙, ② 가우스 법칙- 먼저, 쿨롱의 법칙을 이용해보자!- 계산에 활용된 적분 공식 참고하자~ 답은 ①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2023. 9. 2.
19. 무한길이의 직선 도체에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 직선 도체로부터 l[m]거리에 있는 점의 전계의 세기는? 19. 무한길이의 직선 도체에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 직선 도체로부터 l[m]거리에 있는 점의 전계의 세기는?① l에 비례한다.         ② l에 반비례한다.③ l2에 비례한다.       ④ l2에 반비례한다.• 풀이- 쿨롱의 법칙을 이용하여 구해보자.- 먼저, 총 길이가 L인 직선 도체에 의한 전계를 구하자.- 길이 L을 무한대(∞)로 증가시킴으로써 무한길이의 직선 도체의 전계를 구해보자.- 적분만 가능하다면 어렵지 않은 유도이다.- 아래의 적분 공식 참고하세요.답 ② - 혹시 몰라서 Ex 계산도 해두었으니 참고하세요.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1.
4. 그림과 같이 공기 중 2개의 동심 구도체에서 내구(A)에만 전하 Q를 주고 외구(B)를 접지하였을 때 내구(A)의 전위는? 4. 그림과 같이 공기 중 2개의 동심 구도체에서 내구(A)에만 전하 Q를 주고 외구(B)를 접지하였을 때 내구(A)의 전위는? • 설명- 접지가 외구(B)에 연결되어 있으니 전계를 구한다음 전위를 구하자.- 일반적으로 거리가 무한대일 때 V=0으로 두는데 이 문제는 외구(B)에 접지를 두었으니 외구(B)에서 V=0이다.- 가우스 법칙으로 E를 구할 수 있다.- E를 구했으니 V를 구할 수 있다.- 접지(V=0) 조건을 이용하여 적분상수를 구할 수 있다.- 먼저, a 영역에서 E를 구하자.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8. 24.
7. 그림과 같이 극판의 면적이 S(m2)인 평행판 커패시터에 유전율이 각각 ԑ1=4, ԑ2=2인 유전체를 채우고 a, b 양단에 V(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ԑ1, ԑ2인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1과 E2의 관.. 7. 그림과 같이 극판의 면적이 S(m2)인 평행판 커패시터에 유전율이 각각 ԑ1=4, ԑ2= 2인 유전체를 채우고 a, b 양단에 V(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ԑ1, ԑ2인 유전체 내부의 전계의 세기 E1과 E2의 관계식은?[단, σ(C/m2)는 면전하밀도이다.] ① E1 = 2E2     ② E1 = 4E2③ 2E1 = E2     ④ E1 = E2답은 ③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