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arallel capacitor2

7. 일정한 표면전하밀도를 가진 평행도체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었다. 옳지 않은 것은? 7. 일정한 표면전하밀도를 가진 평행도체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었다. 옳지 않은 것은? 답은 ② ① 도체판 사이의 전위차가 줄어든다 ② 도체판 사이의 전계의 세기는 유전체를 채우기 전보다 증가한다 ③ 도체판 사이의 정전 흡인력이 감소한다 ④ 커패시턴스가 증가한다 ⑤ 도체판에 존재하는 전하량은 유전체의 유무와 무관하다 • 풀이 ① 맞음. - 유전체 삽입 후 전위차 줄어듦 - 아래의 표 참조 ② 틀림. - 전계(E)의 세기는 감소함 - 아래의 표 참조 ③ 맞음 - 총 전하량(σt)이 작아지므로 흡인력도 줄어든다. - 아래의 표 참조 ④ 맞음 - 유전체 삽입 후 커패시턴스(C)는 증가한다. - 아래의 표 참조 ⑤ 맞음 - 도체판에 존재하는 전하량 즉, 자유전하(σf)는 유전체 유무와 상관 없이 변하지 않는다. .. 2023. 12. 26.
8. 간격이 d(m)이고 면적이 S(m2)인 평행판 커패시터의 전극 사이에 유전율이 ԑ인 유전체를 넣고 전극 간에 V(V)의 전압을 가했을 때, 이 커패시터의 전극판을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N)는? 8. 간격이 d(m)이고 면적이 S(m2)인 평행판 커패시터의 전극 사이에 유전율이 ԑ 인 유전체를 넣고 전극 간에 V(V)의 전압을 가했을 때, 이 커패시터의 전극판을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는?   • 풀이- 윗판이 받는 힘과 아랫판이 받는 힘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윗판이 아랫판에서 만드는 전계에 의해 받는 힘을 계산해 보자!- 자기가 만든 전계에 의해 자기가 힘을 받지는 않는다.답은 ④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