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기사(20210814) - 전기자기학

1. 자기 인덕턴스가 각각 L1, L2인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가 M일 때 결합 계수는?

by 오아시스사랑 2023. 8. 24.
반응형

1. 자기 인덕턴스가 각각 L1, L2인 두 코일의 상호 인덕턴스가 M일 때 결합 계수는?


• 풀이

- 자기 인덕턴스(L)의 단위 : H(헨리)
- 상호 인덕턴스(M)의 단위 : H(헨리)
- 결합 계수의 단위 : 1
-①의 단위는 1/H이므로 답이 아니다.
-②의 단위는 H이므로 답이 아니다.
- 기전력의 단위 : V(력으로 끝나니까 힘의 단위인 N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V이다.)
- 역기전력의 단위 : V

결합 계수(Coupling coefficient)

답은 ③

• 결합계수, k (coupling coefficient)

- k가 1이라는 의미는 1번 코일에서 만든 자속이 2번 코일로 100% 지나갔음을 의미한다.
- 혹은, 2번 코일에서 만든 자속이 1번 코일로 100% 지나갔음을 의미한다.

• 인덕턴스(inductance) 개념

- induce(유도하다) + tance → 인덕턴스 
- resist(저항하다) + tance → 저항
- conduct(전도하다) + tance → 전도도
- 인덕턴스는 전류의 변화에 의하여 전자기 유도로 생기는 역기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양
- 인덕턴스가 크면 역기전력이 크다.
- 인덕턴스가 작으면 역기전력이 작다.

• 자기 인덕턴스(self inductance) 개념

- 내가 속해 있는 폐회로의 전류 변화에 의해 전자기 유도로 생기는 역기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양
- 즉, 코일(Coil)이 만드는 역기전력의 비율
- 역기전력을 이해하기 위해 아래의 직렬 RL 회로를 보자!

직렬 RL 회로와 역기전력

 

•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 개념

- 내가 속해 있는 폐회로가 아닌 다른 폐회로의 전류의 변화에 의해 전자기 유도로 생기는 역기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양
- 즉, 다른 폐회로의 코일이 내 폐회로에 만드는 역기전력의 비율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