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6

14. 벡터포텐셜이 A=(y cos ax)ax+(y + e^x)az[Wb/m]일 때, 원점 (0, 0, 0) [m]에서 자속밀도 B[Wb/m2]는? 14. 벡터포텐셜이 A=(y cos ax)ax+(y + ex)az[Wb/m]일 때, 원점 (0, 0, 0) [m]에서 자속밀도 B[Wb/m2]는?• 설명- 벡터포텐셜(A)의 회전 연산(curl, ∇×)을 통하여 자속밀도(B)를 구할 수 있다.- 직교 좌표계에서 벡터의 회전 연산을 할 줄 알아야 답을 낼 수 있다. 답은 ③  • 참고- 마찬가지로 스칼라포텐셜(V)과 벡터포텐셜(A)를 이용하여 전계(E)를 구할 수 있다.- Static한 상황에서는 스칼라포텐셜(V)만 있으면 기울기 연산자(Gradient, ∇)를 이용하여 전계(E)를 구할 수 있다.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12. 19.
15. 고유임피던스 η=30π[Ω], 비투자율 μr=2인 무손실 매질에서 평면전자파의 자계가H=5cos(ωt - 0.8z)ax [A/m]일 경우 15. 고유임피던스 η=30π[Ω], 비투자율 μr=2인 무손실 매질에서 평면전자파의 자계가 H=5cos(ωt - 0.8z)ax [A/m]일 경우 이 매질의 비유전율 ԑr은?① 64 ② 32 ③ 16 ④ 12 ⑤ 8 • 용어 정리- 저항(R) : 직류에서 전압과 전류의 비- 임피던스(Z) : 교류에서 전압과 전류의 비- 고유 임피던스(intrinsic impedance)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할까?- 여기서 고유(intrinsic)은 물질 자체 성질을 의미하지만,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차라리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전압과 전류의 비가 맞다.답은 ②• 기타- 자유공간에서 고유 임피던스도 확인하자.• 고유의 .. 2023. 12. 19.
16. 손실이 있는 유전체에서 시간에 대한 Maxwell 방정식을 페이저 형태로 나타내었다. 옳지 않은 식은? 16. 손실이 있는 유전체에서 시간에 대한 Maxwell 방정식을 페이저 형태로 나타내었다. 옳지 않은 식은? • 설명- 페이저(phasor)가 뭔 지 알아보자!- 정현적(sin 혹은 cos)으로 진동하는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나타내는 복소수이다.  (출처 : Mattew 전자기학)- E의 페이저를 Es로 표기한다.  (근데 첨자 s는 무슨 약자인지는 모르겠음)- 손실 유전체의 경우 σ≠0 이므로 ⑤이 틀림 답은 ⑤매질σԑμ비고자유공간(free space)σ=0ԑ=ԑ0μ=μ0 무손실 유전체(lossless dielectric)σ ≈ 0ԑ=ԑrԑ0μ=μrμ0σ≪ωԑ손실 유전체(lossy dielectric)σ ≠ 0ԑ=ԑrԑ0μ=μrμ0 양도체(good conductor)σ ≈ ∞ԑ=ԑ0μ=μrμ0σ≫ωԑ.. 2023. 12. 19.
17. 내·외도체의 반경이 각각 a [m], b [m]인 단위길이의 동축케이블에서 두 도체사이에 있는 매질의 유전율과 도전율이 각각 ԑ[F/m], σ[S/m]일 때, 도체 사이에전압 V[V]를 인가한 경우 흐르는 전류 .. 17. 내·외도체의 반경이 각각 a [m], b [m]인 단위길이의 동축케이블에서 두 도체 사이에 있는 매질의 유전율과 도전율이 각각 ԑ[F/m], σ[S/m]일 때, 도체 사이에 전압 V[V]를 인가한 경우 흐르는 전류 [A]는?• 설명- 가우스 법칙(Gauss’s law)을 이용하여 동축케이블의 매질 영역에서의 전계(E)를 구하자!- 전계(E)를 이용하여 전압(V)를 구하자!- 미분형 옴의 법칙(J=σE)을 이용하여 전류밀도(J)를 구하자!- 전류밀도(J)를 이용하여 전류(I)를 구하자! 답은 ②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12. 14.
18. 반지름이 10 [cm]이고 단면적이 10 [mm2], 비투자율이 50인 토로이드에 N1=1,000회 및 N2=1,000 회의 권선이 촘촘히 감겨져 있을 때, 두 권선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mH]는? 문 18. 반지름이 10 [cm]이고 단면적이 10 [mm2], 비투자율이 50인 토로이드에 N1=1,000회 및 N2=1,000 회의 권선이 촘촘히 감겨져 있을 때, 두 권선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mH]는?(다만, 자속의 손실은 없다고 가정한다)① 1      ② 2      ③ 5      ④ 5/π      ⑤ 50/π• 설명- 환상철심(toroid)의 상호 인덕턴스(M)와 자기 인덕턴스(L)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답은 ①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12. 14.
19.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공극을 갖는 철심 토로이드에 N[회]의 권선을 감고 여기에 I[A]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철심의 평균길이 l1[m], 공극의 길이 l2[m], 철심의 단면적을 S[m2]라 할 때, 공극에서.. 19.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공극을 갖는 철심 토로이드에 N[회]의 권선을 감고 여기에 I[A]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철심의 평균길이 l1[m], 공극의 길이 l2[m], 철심의 단면적을 S[m2]라 할 때, 공극에서의 자계의 세기 [A/m]를 옳게 표현한 것은?(다만, fringing flux, leakage flux는 무시하며 철심의 비투자율은 μr, 공기의 투자율은 μ0[H/m]로 한다.) • 설명- 아래의 세 가지 개념을 알 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이다.① 앙페르 법칙 (적분형)② 토로이드(toroid)의 개념③ 경계면에서의 경계조건 (boundary condition)답은 ③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 2023. 12. 14.
20. 자화율이 4인 균일 자성체에 자속밀도가 0.05[Wb/m2]인 균등 자계를 가하면, 자성체에서 발생하는 자화의 세기[A/m]는? 20. 자화율이 4인 균일 자성체에 자속밀도가 0.05 [Wb/m2]인 균등 자계를 가하면, 자성체에서 발생하는 자화의 세기 [A/m]?① 1×105/π            ② 2×105/π③ 4×105/π            ④ 5×105/π⑤ 10×105/π아무리 생각해도 답은 ④이라고 생각되는데 답지는 ①이 답이라고 하는데 난 동의 못하겠음!• 설명- 자화(M)의 세기를 구하는 문제다.- 0.05 Wb/m2은 외부에서 걸어준 자속밀도(B) 이므로 μ0H(외부 자기장)에 해당한다.- 자성체 외부에서의 B가 주어졌고, 자성체 내부에서의 자화(M)를 구하는 문제이므로 주의할 것!- 자성체 내부에서 B, H, M을 구해보자  • 기타- 투자율 관련 용어 정리 참고하세요!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 2023. 12. 9.
2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왕복 도체에 작용하는 토크[N·m]는? 2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왕복 도체에 작용하는 토크[N·m]는?(다만, 도체의 길이 : l [m], 전류 : I[A], 자속밀도 : B = Bax[Wb/m2], 도체간격 : w[m]이다) • 설명- 두 가지 개념을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이다.① 자기장 속에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② 토크 (회전력, 돌림힘)- r :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τ : 회전력(torque, 토크, 돌림힘)- 두 도선의 토크를 각각 구해서 더하자!답은 ③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12. 9.
22. 주파수 증가에 대하여 가장 급속히 증가하는 것은? 22. 주파수 증가에 대하여 가장 급속히 증가하는 것은? ① 표피두께(skin depth)의 역수② 히스테리시스 손실③ 교번자속에 의한 기전력④ 유도성 리액턴스⑤ 와전류 손실 • 설명- 각각의 물리량 공식을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다.① 표피두께의 역수는 주파수 제곱근(square root)에 비례② 히스테리시스 손실(Ph)은 주파수(f)에 비례③과 ④는 update 예정 ⑤ 와전류 손실(Eddy Current Loss)은 주파수 제곱에 비례한다.- 와전류 손실을 구해보자.- 기전력 V를 구했지만 이 V를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구한 것이므로 참고만 하세요~ 답은 ⑤Pe : 와류손(Eddy Current Loss)K : 재료 상수t : 두께f : 주파수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 2023. 1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