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6

39. 공기 중에서 100[kW]의 전력이 안테나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방사되는 경우, 안테나로부터 1[km] 떨어진 점에서 자계의 실효값[A/m]은? 39. 공기 중에서 100[kW]의 전력이 안테나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방사되는 경우, 안테나로부터 1[km] 떨어진 점에서 자계의 실효값[A/m]은? • 설명- 포인팅 벡터(S, Poynting vector)를 이해하고 있는지 묻고 있는 문제이다.- 포인팅 벡터(S)와 E와 H의 관계를 알아야 풀 수 있다.- 포인팅 벡터: 단위시간 동안, 단위면적당 지나가는 장에 실린 에너지- 포인팅 벡터의 단위는 J/(s·m2)답은 ②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9.
40. 자기에너지의 차원과 같지 않은 것은? 40. 자기에너지의 차원과 같지 않은 것은?(다만, L : 인덕턴스, μ : 투자율, B : 자속밀도, H : 자계, J : 전류밀도, A : 벡터포텐셜, V : 체적, I : 전류이다.) • 설명- 자기에너지는 에너지의 한 종류이므로 당연히 단위가 J 이다.- 대표적인 자기에너지가 인덕터 에너지(½LI2)이므로 여기서부터 시작해보자!- 직렬 RL 회로를 이용하여 인덕터 에너지 유도해보자! (아래 참고)답은 ④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4.
의뢰 문제 2 - 정사각형 도선에 의한 자기장 길이가 L인 정사각형에 전류 I가 흐르고 있을 때 정사각형 중심에서 H를 구하라. 2023. 9. 23.
1. ԑ1 > ԑ2 인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전계가 수직일 때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1. ԑ1 > ԑ2 인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 전계가 수직일 때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① 전계의 방향 ② 전속 밀도의 방향 ③ ԑ1 의 유전체에서 ԑ2 의 유전체 방향 ④ ԑ2 의 유전체에서 ԑ1 의 유전체 방향• 설명- 두 유전체의 경계면에서 ԑ1에 의해 + charge와 ԑ2에 의해 – charge가 생성됨- ԑ1 > ԑ2이므로 결국 -보다 +가 더 많으므로 오른쪽(+x) 으로 힘이 발생됨- σb : 유전체의 속박전하 밀도(b: bounded)- A: 평행판 면적답은 ③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3.
2. 권수 500회이고 자기인덕턴스가 0.05H인 코일이 있을 때 여기에 전류 5A를 흘리면 자속 쇄교수는 몇 [Wb] 인가? 2. 권수 500회이고 자기인덕턴스가 0.05H인 코일이 있을 때 여기에 전류 5A를 흘리면 자속 쇄교수는 몇 [Wb] 인가? ① 0.15Wb ② 0.25Wb ③ 15Wb ④ 25Wb• 설명쇄교 : 鎖交, interlinkage쇄교 : 코일의 전류에 의해서 생긴 자기력선이 코일과 교차하는 것. (다음 국어사전)鎖(쇄) : 쇠사슬交(교) : 사귀다interlinkage : 이음, 연결, 쇄교 (네이버 영어사전)답은 ②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3.
3. 내반경 a[m], 외반경 b[m], 길이 l[m]인 동축 케이블의 내원통 도체와 외원통 도체간에 유전율 ԑ[F/m], 도전율 σ[S/m]인 손실유전체를 채웠을 때 양 원통간의 저항[Ω]을 나타내는 식은? 3. 내반경 a[m], 외반경 b[m], 길이 l[m]인 동축 케이블의 내원통 도체와 외원통 도체간에 유전율 ԑ[F/m], 도전율 σ[S/m]인 손실유전체를 채웠을 때 양 원통간의 저항[Ω]을 나타내는 식은? • 설명- 가우스 법칙(Gauss’s law)을 이용하여 동축케이블의 내부의 전계(E)를 구하자!- 전계(E)를 이용하여 전위(V)를 구하자!- 미분형 옴의 법칙(J=σE)을 이용하여 전류밀도(J)를 구하자!- 전류밀도(J)를 이용하여 전류(I)를 구하자!- V와 I를 구했으니 V=IR을 이용하여 저항(R)을 구하자!답은 ④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3.
4. 진공 중에 미소 선전류 I·dl[A/m]에 기인된 r[m] 떨어진 점 P에 생기는 자계 dH[A/m]를 나타내는 식은? 4. 진공 중에 미소 선전류 I·dl[A/m]에 기인된 r[m] 떨어진 점 P에 생기는 자계 dH[A/m]를 나타내는 식은? • 풀이- 자계(H)는 μ0이 없으므로 ②와 ③은 답이 아니다.- 방향은 I x ar이 맞다.(무한장 직선 도선에 의한 자계를 연상하자!)- 전자기학 책에서는 전류원과 관측자의 거리를 대문자 R 혹은 │r-r’│로 표현하고 있으니 헷갈리지 말자!- 아래의 비오사바트 법칙(Bio-Savart law) 참고답은 ① 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3.
5. 비투자율 μr=4인 자성체 내에서 주파수 1[GHz]인 전자기파의 파장[m]은? 5. 비투자율 μr = 4인 자성체 내에서 주파수 1[GHz]인 전자기파의 파장[m]은?① 0.1       ② 0.15       ③ 0.25       ④ 0.4 • 설명- 전자파(전자기파)의 속도와 유전율, 투자율과의 관계를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다.- 전자파의 한 파장(λ)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주기(T)라는 사실에서부터 풀어보자!- 공식 외우지 말고 이해하자!- 공식만 외우면 시험장 가면 생각 안 난다.- 1 GHz=109 Hz답은 ②• 참고- 자성체의 유전율은 뭘 까?- 혹은 도체의 유전율은 뭘 까?- 자성체로 접근하지 말고 도체로 접근하자!- 왜냐하면, 자성체는 전이 금속(Transition metal)이다.- 유전율은 Valence band에 있는 전자들의 성질이므로 금속의 .. 2023. 9. 23.
6. 전자계에서 전파속도와 관계없는 것은? 6. 전자계에서 전파속도와 관계없는 것은?①도전율  ②유전율  ③비투자율  ④주파수 • 설명 - 분산(dispersion)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가를 묻고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전자기파의 주파수(f) 혹은 각주파수(ω=2πf)에 따라 유전율(ԑ)이 바뀌는 것을 분산이라고 한다. - 즉, 주파수(f) 혹은 파장(λ)에 따라 유전율(ԑ)이 바뀌는 것을 분산이라고 한다. - 유전율(ԑ)이 바뀌면 굴절률(n)이 바뀌고, 굴절률(n)이 바뀌면 전파속도(v)가 바뀐다. - 결국,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가 분산이다.답은 ①개인적으로 푼 거라서 틀릴 가능성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 있으면 댓글요~ 도움이 되었다면 ♡ 클릭요~ ♡ 클릭 안 하면, 시험에서 떨어짐 2023. 9. 23.
반응형